지난 4월 미얀마에서는 사이클론 나르기스로 인하여 13 만 명 이상 사망하고, 200 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참사가 발생했으며, 거의 비슷한 시기에 중국 쓰촨성에서는 대지진이 발생해 실종자까지 사망자로 집계할 경우 9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두 사건을 통해 이 두 사회주의 국가의 정부가 보여준 태도는 여러 모로 대조적이었다. 중국은 과거 내부에서 발생한 탕산 대지진 등의 비극적인 일이 외부로 새 나가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언론을 통제한 전력이 있으나 이번에는 아주 적극적으로 상황을 외부에 공개하고, 오히려 먼저 세계 각국의 정부와 NGO에 구호를 요청했다. 반면 미얀마 정부는 구호를 위한 외국의 인력은 물론 구호 물자의 반입까지도 차단하는 등 이해되지 않는 대처로 세계의 빈축을 샀다.
오히려 중국을 맹공하던 사람들이 지진 피해 돕기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이를 위해 중국 정부와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만들어 갔다. 미국 의회는 중국정부를 비난하던 결의안을 추진하다가 말고, 오히려 긴급구호를 위해 중국정부와 협력체계를 만들어 가는데 바밨고, 티벳망명정부마저도 독립의 목소리를 내기 보다는 지진피해자를 애도하는 분위기이다.
반면 미얀마 정부는 구호를 명목으로 NGO들이 대거 들어오고 주민들과 자유롭게 접촉할 경우 정부에 의해서 자행된 인권 탄압상과 만행이 고스란히 해외에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 분명 하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의 피해가 막대하며, 중상자들이 의료 지원의 부족으로 죽어가고, 외부의 도움 없이는 복구자체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해서든 NGO의 입국과 접촉을 막을 수 밖에 없었다. 오히려 거센 반대로 인해 정상적으로는 통과가 어려워 보였던 새 헌법안을 온 나라와 국제사회의 관심이 사이클론의 충격에 집중되어 있는 사이인 5월 10일 예정대로 국민투표를 강행하여 통과시켰다.
새 헌법안은 겉으로는 군정을 종식시키고 민정이양을 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어 민주화가 진일보 된 것으로 보이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의회의 의석의 1/4을 군부가 지명하게 되어 있고, 비상사태 발생 시에는 대통령의 모든 권한을 군부에 넘겨주도록 되어 있고, 헌법의 개정도 군부의 동의가 있어야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등 사실상 변형된 군정연장이라고 밖에 볼 수 없는 내용으로 가득차 있다.
어찌되었건 이 두 천재지변은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을 뿐 아니라, 살아남은 사람들에게도 무거운 짐을 지워주었다. 또 복구에 얼마나 긴 세월이 소요될지 가늠하기 어렵다.
|